중1수학-개념부터 알기 7

중1수학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

안녕하세요 크앙씨입니다. 오늘은 2번째 시간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마도 여러분들은 초등학교 6학년 때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에 대해서 배우셨을 것입니다. 그때는 밑에 사진과 같은 방법으로 푸셨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번에는 소인수분해를 이용한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에 대해 배워보겠습니다. 먼저 그걸 배우기 전에 '서로수'라는 개념을 먼저 아셔야 합니다. 서로소란 최대공약수가 1인 두 자연수라고 합니다. 예를들어 3과 8의 최대공약수는 1이니 서로소가 되겠죠. 자 이제 소인수분해를 이용한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의 대해 알려 드리겠습니다. 먼저 소인수분해를 이용한 최대공약수를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밑에 그림처럼 두 수를 소인수분해 합니다. 그리고 공통인 거듭제곱 중 가장 작은 거듭제..

중1수학정수와 유리수

안녕하세요 크앙씨입니다. 오늘은 세 번째 시간으로 정수와 유리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양의 부호 -:음의 부호 라고 합니다. 그리고+6은 양의 6,-2는음의 2라고 읽습니다. 양의 부호를 붙인 수를 양수, 음의 부호를 붙인 수를 음수라고 합니다. 특히 양의 부호를 붙인 수는 양의 정수, 음의 부호를 붙인 수를 음의 정수라고 합니다. 그리고 양의 정수,0,음의 정수를 통틀어 정수라고 합니다. 정리하면 아래와 같이 분류할 수 있습니다. (0은 양수도 아니고, 음수도 아니다.) 분수의 양의 부호를 붙인 수를 양의 유리수 분수에 음의 부호를 붙인 수를 음의 유리수라고 합니다. 그리고 양의 유리수, 0,음의 유리수를 통틀어 유리수라고 합니다. 정리하면 아래와 같이 분류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크앙씨 이었..

중1수학 정수와 유리수의 대소관계

안녕하세요 크앙씨입니다. 오늘은 지난번에 예고한 것처럼 정수와 유리수의 대소관계에 대해 알아 볼 건데요. 먼저 절댓값을 알아야 합니다. 절댓값 기호는| |이고요. 절댓값 의미는 수직선 위에서 원점으로부터 어떤 수를 나타내는 점까지의 거리의 수입니다. 예를 들어 +3의 절대값은| +3 |=3이고,-3의 절댓값은| -3 |= 3입니다. 쉽게 표현하면 밑에 있는 수직선처럼 나타낼 수 있습니다. 그 다음은 수의 대소관계를 어떻게 판단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항상 수직선 위에서 오른쪽에 있는 정수가 왼쪽에 있는 정수보다 큽니다. 마찬가지로 수직선 위에 유리수도 오른쪽에 있는 유리수가 왼쪽에 있는 유리수보다 큽니다. 쉽게 표현하면 밑에 있는 수직선처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수직선 위에서 음수는 0의 왼쪽에 있..

중1수학정수와 유리수의 덧셈, 뺄셈

안녕하세요 크앙씨입니다. 벌써5차시 이군요. 오늘은정수와 유리수의 덧셈, 뺄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보는 것처럼 정수와 유리수의 덧셈 뺄셈 은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양의 정수)+(양의 정수) 는 원래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이므로 따로 설명하지는 않겠습니다. 다음으로는(음의 정수)+(음의 정수) 입니다. 말로 설명하면 밑에 있는 사진처럼 왼쪽으로 2만큼 간 다음에 다시 왼쪽으로 3만큼 간 것입니다. 결국 왼쪽으로 5만큼 간 것과 같습니다. 따라서 답은 -5입니다. 그 다음으로는(양의 정수)+(음의 정수)입니다. 이거 같은 경우에는 오른쪽으로 3만큼 간 뒤에 왼쪽으로 5만큼 간 것입니다. 결국 원점에서 왼쪽으로 2만큼 간 것과 같습니다. 따라서 답은 -2입니다. 마지막으로는(음의 정수)+(양의 정수) 입니..

중1수학정수와 유리수의 곱셈, 나눗셈

안녕하세요 크앙씨입니다. 오늘은 6차시로 정수와 유리수의 곱셈, 나눗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배우기 전에 역수라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역수는 두 수의 곱신 일이 될 때 한술을 다른 수의 역수라고 합니다. 예를 들면 3분의 2의 역수는 2분의 3입니다. 이제 정수와 유리수의 곱셈, 나눗셈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총4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첫 번째는 우리가 알고 있는 양수 곱하기 양수입니다. 너무 쉬우니 따로 설명 안 하겠습니다. 두 번째는 양수 곱하기 음수입니다. 예를 들어 초속 3m로 동쪽으로 달릴 때 2초 전에 위치는 - 6입니다. 그림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세 번째는 음수 곱하기 양수입니다. 이것 또한 예를 들어 초속 3m로 서쪽으로 달릴 때 2초 후에 위치는 -..

중1수학문자의 사용

안녕하세요 크앙씨입니다. 오늘은 오랫만에 중1수학에 대해 써보겠습니다. 오늘은 7차시 문자의 사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문자의 사용과 식의 계산에서 처음 배우는 것은 곱셈과 나눗셈 기호를 생략하는 방법입니다. 방법은 아주 간단해요~ 곱셈이 있을 경우 그 기호를 생략하여 쓸 수 있는데요 이때에는 수가 문자보다 앞에 오면 되고요 문자끼리의 곱에서는 알파벳 순서대로 해주시면 되어요 같은 문자가 있을 경우에는 거듭제곱으로 나타내어 주면 된답니다. (중2 문자의 사용과 식의 계산 - 곱셈 기호의 생략) 나눗셈에서는 나눗셈을 곱셈으로 바꾸고 그 뒤에 오는 수를 역수로 취해 준 후 곱셈기호를 생략하면 되요. (중2 문자의 사용과 식의 계산 - 나눗셈 기호의 생략) 그럼 이러한 내용을 토대로..

중1수학 식의 계산

안녕하세요 크앙씨입니다. 오늘은 중1수학 8차시로 식의 계산에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그 전에 7차시 문자의 사용을 복습하겠습니다. 먼저 항과 상수항과 계수와 다항식과 단항식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 항+상수항+계수 --- 식 2X + 3Y + 200 은 2X 3y 200의 팝으로 이루어져있습니다. 여기에서 수 또는 문자의 곱으로 이루어진2X, 3Y, 200을 항이라고 합니다. 특히 200과 같이 수로만 이루어진 항을 상수항이라고 합니다. 또 2X 와 같이 수와 문자의 곱으로 이루어진 항에서 문자 x의 곱해져 있는 수 2를 문자 x의 계수라고 합니다. 다항식+단항식 --- 한편 3 x, x - 1과 같이 1개 이상의 합으로 이루어진 항의 합으로 이루어진 식을 다항식이라고 하고, 다항식 중에서 한 개의 항으로 ..